본문 바로가기
논어

팔일편 11장, 12장, 13장

글: 논어일기 2020. 12. 21.
반응형

或 問禘之說 子曰 不知也 知其說者之於天下也 其如示諸斯乎 指其掌

혹 문체지설 자왈 부지야 지기설자지어천하야 기여시저사호 지기장

어떤 이가 체에 관한 해설을 듣고자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알지 못한다. 그 설을 알 수 있는 사람은 천하를 대함에 있어서, 그것을 여기에 두고 보는 듯하겠구나!" 그러면서 손바닥을 가리키셨다.

손바닥을 가리키는 것은 손바닥을 보듯 훤하게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무엇인가를 제대로 안다는 것은 그 세계를 초월하여 전체를 한눈에 파악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에 관한 이야기는 아무래도 와 닿지 않는다. 널리 알려진 구절도 아니라서 더욱 그렇다.

 

祭如在 祭神如神在 子曰 吾不與祭 如不祭

 

제여재 제신여신재 자왈 오불여제 여불제 .

제사를 지낼 적에는 있는 것같이 하라 함은, 하느님을 제사 지낼 적에는 하느님이 계시는 것같이 하라는 뜻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직접 참여하여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면, 그것은 제사를 지내지 않은 것과도 같은 것이다."

도올 만화 논어에는 일본 유학자 '소라이'의 해석이 자주 나온다. 도올 선생이 밝혔듯이 우리나라 유학자들 가운데 일본 유학자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 것이다. 하물며 나처럼 이제서야 논어를 공부하는 이들은 일본에 유학자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일 것이다. 우리가 일본을 너무 뜨문뜨문 알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데 몰라도 너무 몰라서 일본에게 당한 것이 아닐까. 이제라도 더 폭넓게 세상을 보는 눈을 가지려고 힘써야 한다.

1800년대 초반 귀양지에서도 일본 유학자의 글까지 섭렵했던 다산 정약용이 새삼스레 위대해 보이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다산이 쓴 목민심서를 아꼈다는 호찌민 주석은 또 어떤가?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목민심서를 제대로 읽어 본 사람이 몇이나 될까 생각하면 오히려 옛날 사람들 가운데 오늘날 우리보다 더 폭 넓은 정보를 접하고 살았던 이가 많았던 것이 아닐까 싶다.

아무튼 요즘 제사 절차도 까다롭게 보면 어렵지만 조상님이 그냥 우리 곁에 있는 것처럼 지내면 된다고 생각하면 그리 어려울 것이 없다고 여겨진다. 조율이시 홍동백서는 집어 치우고 조상님이 좋아하시던 음식을 마련하고 꼭 필요한 격식을 갖추고 식사를 대접하듯이 하면 될 일이다. 물론 격식을 어디까지 지켜야 마땅한가라는 문제는 여전하지만 말이다.

한마디 더 덧붙이자면 우리와 아무 상관이 없는 유대신을 위한 제사인 일요예배에 그토록 열심인 사람들이 바로 실존하셨던 부모님 제사를 모시는 일을 번거로운 미신으로만 취급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명절 차례는 몰라도 기제사는 지키는 것이 자식된 도리가 아닐까 싶다.

 

王孫賈問曰 與其媚於奧 寧媚於竈 何謂也 子曰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

왕손가문왈 여기미어오 영미어조 하위야 자왈 불연 획죄어천 무소도야

왕손가가 공자에게 물었다. "아랫목 신에게 잘 보이기보다는 차라리 부뚜막 신에게 잘 보이라 하니, 이것은 무슨 말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하늘에 죄를 얻으면 빌 곳이 없다!"
奧 안방의 아랫목 아첨하다 부뚜막

방의 서남쪽 모퉁이를 '오'라 하고 '조'는 다섯 제사 중 하나로, 여름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주자-

왕손가 질문 속의 '오'는 위렬공이나 영공의 부인 남자를 가리키고 '조'는 왕손가 자신을 가리킨다. 도올 선생은 왕손가는 유랑길에 올라 벼슬 자리를 구하러 다니는 공자를 매우 얕잡아 보았던 것인데 하늘에 죄를 지으면 용서 받을 길이 없다고 일갈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갑골문은 은나라 때 동물 뼈에 새긴 상형문자이고 금문은 은주 시대 청동기에 새긴 문자인데 하늘 천을 그림과 같이 썼다고 한다. 사람이 곧 하늘이고 하늘이 곧 사람인 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