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향당제십

향당편 11장, 12장, 13장 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 康子饋藥, 拜而受之. 曰, “丘未達, 不敢嘗.” 문인어타방, 재배이송지. 강자궤약, 배이수지. 왈 "구미달, 불감상." 사람을 다른 나라에 보내어 그곳에 있는 붕우의 안부를 물을 때에는, 그 떠나는 사자에게 두 번이나 절하고 보내셨다. 노나라의 실권자 계강자가 공자에게 약을 보내왔다. 공자는 그것을 절하고 정중하게 받아들였다. 그러나 솔직히 말씀하셨다. "제가 이 약의 성분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감히 먹을 수는 없습니다." 廏焚. 子退朝, 曰: “傷人乎?” 不問馬. 구분. 자퇴조, 왈: "상인호?" 불문마. 공자의 집안 마구간에 불이 났다. 공자께서 조정에서 돌아오시어 이를 아시고 말씀하셨다. "사람이 다쳤느냐?" 그리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으셨다. 말을 사랑하지 않은 것이 아.. 더보기
향당편 9장, 10장 席不正, 不坐. 석부정 부좌 공자께서 자리에 앉으실 때에는 반드시 자리를 반듯하게 한 후에 앉으셨다. 鄕人飮酒, 杖者出, 斯出矣. 鄕人儺, 朝服而立於阼階. 향인음주 장자출 사출의 향인나 조복이립어조계 향당에서 향음주례가 파하고 퇴장할 때에 큰 지팡이를 짚은 노인이 먼저 일어나 나가면 그제야 그 뒤를 따라 나가셨다. 향인들이 동네에서 액막이굿을 할 때에는 공자께서는 성대한 조복 차림으로 동네 공관 뜨락의 동쪽 섬돌에 서 계셨다. 나이 50이 되어야 집(家)에서 지팡이를 짚는다. 60이 되어야 향(鄕)에서 지팡이를 짚는다. 70이 되어야 나라(國)에서 지팡이를 짚는다. 80이 되면 조정(朝)에서 지팡이를 짚는다. - —예기 [왕제] 더보기
향당편 8장 食不厭精, 膾不厭細. / 食饐而餲, 魚餒而肉敗, 不食. / 色惡不食, 臭惡不食, 失飪不食, 不時不食. / 割不正不食, 不得其醬不食. / 肉雖多, 不使勝食氣. 唯酒無量, 不及亂. / 沽酒市脯, 不食. / 不撤薑食. / 不多食. / 祭於公, 不宿肉. 祭肉不出三日, 出三日, 不食之矣. / 食不語, 寢不言. / 雖疏食菜羹, 瓜齊, 必齊如也. 사불염정 회불염세 / 사의이애 어뇌이육패 불식 / 색악불식 취악불식 실임불식 불시불식 / 할부정불식 부득기장불식 / 육수다 불사승사기 유주무량 불급란 / 고주시포 불식 / 불철강식 / 부다식 / 제어공 불숙육 제육 불출삼일 출삼일 불식지의 / 식불어 침불언 / 수소사채갱 과제 필제여야 밥은 도정이 잘 된 흰 쌀밥을 싫어하지 않으셨으며, 날고기(육회, 생선회)는 가늘게 썬 것.. 더보기
향당편 6장, 7장 君子不以紺緅飾, 紅紫不以爲褻服. 當署, 袗絺綌, 必表而出之. 緇衣, 羔裘, 素衣, 麑裘, 黃衣狐裘. 褻裘長, 短右袂. 必有寢衣, 長一身有半. 狐貉之厚以居. 去喪, 無所不佩. 非帷裳, 必殺之. 羔裘玄冠不以弔. 吉月, 必朝服而朝. 군자불이감추식 홍자불이위설복 당서 진치격 필표이출지 치의 고구 소의 예구 황의 호구 설구장 단우몌 필유침의 장일신유반 호학지후이거 거상 무소불패 비유상 필쇄지 고구현관불이조 길월 필조복지조 군자는 감색과 검붉은 색으로는 깃과 끝동에 선을 두루지 않는다. 다홍색과 보라색으로는 평상복을 만들어 입지 않으셨다. 더위를 당해서는 고운 갈포나 굵은 갈포로 만든 홑겹의 옷을 반드시 겉에 입으시고 맨살을 드러내지 않으셨다. 겨울 의상으로 검은 솜누비 윗도리를 입으실 때에는 검은 털 염소가죽 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