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왈편 1장~3장
요왈편은 마지막 편으로 3장이 전부다. 이제 논어를 모두 정리했다. 제미나이 덕분이다.一. 堯曰: “咨! 爾舜! 天之曆數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 永終.” 舜亦以命禹. 曰: “予小子履, 敢用玄牡, 敢昭告于皇皇后帝. 有罪不敢赦, 帝臣不蔽, 簡在帝心. 朕躬有罪, 無以萬方; 萬方有罪, 罪在朕躬.” 周有大賚, 善人是富. 雖有周親, 不如仁人. 百姓有過, 在予一人. 謹權量, 審法度, 修廢官. 四方之政 行焉. 興滅國, 繼絶世, 擧逸民. 天下之民 歸心焉. 所重 民食喪祭. 寬則得衆, 信則民任焉, 敏則有功, 公則說.요왈: “자! 이순! 천지력수재이궁, 윤집기중. 사해곤궁, 천록 영종.” 순 역이명우. 왈: “여소자이, 감용현모, 감소고우황황후제. 유죄불감사, 제신불폐, 간재제심. 짐궁유죄, 무이만방; 만방유죄, ..
2025. 11. 10.
자장편 15장~20장
十五.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과야, 인개견지; 경야, 인개앙지.”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잘못은 해와 달의 일식(日食)이나 월식(月食)과 같다. 잘못을 저지르면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보지만,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그를 우러러본다."✨ 해설: 군자의 잘못과 개과천선이 장은 공자의 뛰어난 제자인 **자공(子貢)**이 **군자(君子)**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취해야 할 태도와 그 결과를 **일월식(日月食)**에 비유하여 설명한 구절입니다. 이는 군자의 잘못은 숨기기 어렵지만, 고치는 용기는 더 큰 존경을 낳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과야, 인개견지 (過也, 人皆見之): 해와 달이 일식이나 월식으로 인해 잠시 빛을 잃듯이, ..
2025. 11. 9.
자장편 3장, 4장
三. 子夏之門人 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 子張曰: “異乎吾所聞. 君子 尊賢而容衆, 嘉善而矜不能. 我之大賢與, 於人何所不容? 我之不賢與, 人將拒我, 如之何其拒人也?”자하지문인 문교어자장. 자장왈: “자하운하?” 대왈: “자하왈: ‘가자여지, 기불가자거지.’” 자장왈: “이호오소문. 군자 존현이용중, 가선이긍불능. 아지대현여, 어인하소불용? 아지불현여, 인장거아, 여지하기거인야?”자하의 문인이 자장에게 교제에 관하여 물었다. 자장이 말하였다. "자하는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그 문인이 대답하였다. "자하가 말하기를, '가능한 사람과는 더불어 하고, 가능하지 않은 사람은 거절하라'고 했습니다." 자장이 말하였다. "내가 들은 것과는 다르구나. 군자는 ..
2025. 11. 4.
자장편 1장, 2장
一. 子張曰: “士見危致命, 見得思義, 祭思敬, 喪思哀, 其可已矣.”자장왈: “사견위치명, 견득사의, 제사경, 상사애, 기가이의.”자장이 말하였다. "선비가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고, 얻을 것이 있으면 의(義)를 생각하며, 제사에는 공경함을 생각하고,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생각하면, 그것으로 족하다."✨ 해설: 군자의 네 가지 덕목이 장은 공자의 제자인 **자장(子張)**이 생각하는 **'선비(士)의 필수 덕목'**을 정리한 것입니다. 자장은 학식이 뛰어났으나, 때로는 현실적인 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 발언은 선비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네 가지 핵심 행동 강령을 제시하고 있습니다.견위치명(見危致命): 국가나 공동체가 위태로울 때 목숨을 바치는 충성심. 이는 **용기(勇)**와 **의(..
2025.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