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편 15장, 16장
子曰: "鄙夫! 可與事君也與哉? 其未得之也, 患得之; 既得之, 患失之. 苟患失之, 無所不至矣!"자왈: "비부! 가여사군야여재? 기미득지야, 환득지; 기득지, 환실지. 구환실지, 무소불지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비루한 자들이여! 어찌 이들과 더불어 임금을 섬기며 일을 도모할 수 있겠는가? 그가 (권력을) 아직 얻지 못했을 때에는, 그것을 얻을까 걱정하고 (곧 '얻기 위해 안달하고'); 이미 그것을 얻고 나서는, 그것을 잃을까 걱정한다. 진실로 잃을까 걱정하게 되면,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 (곧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이 장은 공자께서 **소인(小人)이나 비루한 자들(鄙夫)**이 벼슬이나 권력을 대하는 태도를 비판하며, 그들과는 함께 바른 정치를 할 수 없음을 강조하는 내용이다.鄙夫(비부):..
2025. 10. 25.
양화편 9장
子曰, "小子何莫學夫詩? 詩可以興, 可以觀, 可以群, 可以怨. 邇之事父, 遠之事君. 多識於鳥獸草木之名."자왈, "소자 하막학부시? 시 가이흥, 가이관, 가이군, 가이원. 이지사부, 원지사군. 다식어조수초목지명."공자께서 젊은 제자들에게 **시(詩, 시경)**를 배우는 효용에 대해 말씀하신 구절이다.공자께서는 말씀하셨다. "젊은이들아, 너희는 어찌하여 시를 배우지 않느냐? 시는 느낌을 일으킬 수 있고($\text{興}$), 사물과 엯를 통관게 하며($\text{觀}$), 사람과 더불어 무리 짓게 하며($\text{群}$), 나의 슬픔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text{怨}$). 가까이는 어버이를 잘 섬기고($\text{邇之事父}$), 멀리는 임금을 잘 섬기게($\text{遠之事君}$) 한다. 새, 짐승..
2025. 10. 19.
양화편 8장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對曰, “未也.”“居! 吾語女.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好剛不好學, 其蔽也狂.”자왈 "유야! 여문육언육폐의호"대왈 "미야"거오어여. 호인불호학 기폐야우, 호지불호학 기폐야탕, 호신불호학 기폐야적, 호직불호학 기폐야교, 호용불호학 기폐야란, 호강부롷학 기폐야광.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야! 너는 여섯 가지 덕목(六言)과 여섯 가지 폐단(六蔽)에 대해서 들어보았느냐?"자로가 대답했다. "아직 듣지 못했습니다.""앉아라! 내가 너에게 말해주겠다. 어진 마음(仁})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리석게 되는 것이요(愚). 아는 것(知)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
2025.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