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047

삼척 용굴 촛대바위길 삼척에는 ‘용굴 촛대바위길’이 있다. 이곳은 마라토너 황영조의 고향이기도 하다. 아들에게 물어보니 뜻밖에도 잘 모른다고 했다. 길 초입의 식당가는 모두 가림막으로 덮여 있었고, 한창 대대적인 공사가 진행 중인 듯했다. 촛대바위까지는 걸어 들어갈 수 있었지만, 그 이후 구간은 낙석 위험으로 출입이 통제되어 있었다. 이곳은 지질공원이기도 하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군데군데 세워진 안내판이 눈에 띄는데, 읽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공부가 된다. 약 2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면서 극지방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다. 그때 지금보다 약 130미터 낮았던 해수면은 약 6000년 전쯤 현재 수준까지 상승했다. 한때 육지였던 곳이 바닷물에 잠기며, 지금 우리가 보는 섬의 모습이 만들어진 것이다.촛대바위 앞에 서니,.. 2025. 11. 11.
요왈편 1장~3장 요왈편은 마지막 편으로 3장이 전부다. 이제 논어를 모두 정리했다. 제미나이 덕분이다.一. 堯曰: “咨! 爾舜! 天之曆數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 永終.” 舜亦以命禹. 曰: “予小子履, 敢用玄牡, 敢昭告于皇皇后帝. 有罪不敢赦, 帝臣不蔽, 簡在帝心. 朕躬有罪, 無以萬方; 萬方有罪, 罪在朕躬.” 周有大賚, 善人是富. 雖有周親, 不如仁人. 百姓有過, 在予一人. 謹權量, 審法度, 修廢官. 四方之政 行焉. 興滅國, 繼絶世, 擧逸民. 天下之民 歸心焉. 所重 民食喪祭. 寬則得衆, 信則民任焉, 敏則有功, 公則說.요왈: “자! 이순! 천지력수재이궁, 윤집기중. 사해곤궁, 천록 영종.” 순 역이명우. 왈: “여소자이, 감용현모, 감소고우황황후제. 유죄불감사, 제신불폐, 간재제심. 짐궁유죄, 무이만방; 만방유죄, .. 2025. 11. 10.
자장편 15장~20장 十五.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과야, 인개견지; 경야, 인개앙지.”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잘못은 해와 달의 일식(日食)이나 월식(月食)과 같다. 잘못을 저지르면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보지만,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그를 우러러본다."✨ 해설: 군자의 잘못과 개과천선이 장은 공자의 뛰어난 제자인 **자공(子貢)**이 **군자(君子)**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취해야 할 태도와 그 결과를 **일월식(日月食)**에 비유하여 설명한 구절입니다. 이는 군자의 잘못은 숨기기 어렵지만, 고치는 용기는 더 큰 존경을 낳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과야, 인개견지 (過也, 人皆見之): 해와 달이 일식이나 월식으로 인해 잠시 빛을 잃듯이, .. 2025. 11. 9.
폭포 사진을 보다가 윤석열 생각? 소금강 계곡에서 무릉폭포와 구룡폭포를 마주했다. 바위를 타고 내리 꽂히는 물줄기가 하얗게 부서지며, 그 굉음 속에 세월의 숨결이 섞여 있는 듯하다. 설명문에는 폭포의 위치가 아주 느리게, 그러나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고 적혀 있었다. 그 문장을 읽는 순간, 나는 멈춰 서서 물을 오래 바라보았다.단단하고 영원할 것 같던 바위를 깎아 이 거대한 계곡을 만든 것은 다름 아닌 물이었다. 부드럽게, 때로는 세차게, 억겁의 세월을 하루처럼 흘러가며 바위를 쓸어낸 물. 그 끝없는 인내가 세상의 모양을 빚었다.결국 만물은 물이 만든 것이다. 세월은 물처럼 흐르고, 물은 흘러서 시간을 만든다. 그 물 앞에 서 있노라면 남보다 한 걸음이라도 먼저 가겠다고 아등바등하던 인간의 모습이 참으로 작고 덧없게 느껴진다.물은 다만 .. 2025. 11. 8.
자장편 11장~14장 十一. 子夏曰: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자하왈: “대덕불유한, 소덕출입가야.”자하가 말하였다. "큰 덕(大德)은 울타리를 넘어가지 않아야 하지만, 작은 덕(小德)은 (울타리를) 드나드는 것이 괜찮다."✨ 해설: 큰 덕과 작은 덕의 기준 (원칙과 융통성)이 장은 **자하(子夏)**가 군자가 지켜야 할 도덕적 원칙에 있어 큰 기준과 작은 허용 범위를 설정하여 융통성을 강조한 내용입니다.大德不踰閑 (대덕불유한): **큰 덕(大德)**은 인(仁), 의(義), 효(孝)와 같은 인간의 근본 도리, 즉 핵심적인 도덕 원칙을 의미합니다. **閑(한)**은 울타리, 즉 규범과 법도의 경계를 뜻합니다. 근본 도덕은 어떤 상황에서도 **넘어서는 안 된다(不踰)**는 확고한 원칙을 제시합니다.小德出入可也 (소덕출입가야).. 2025. 11. 8.
자장편 9장, 10장 九. 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 卽之也溫, 聽其言也厲.” 자하왈: “군자유삼변: 망지엄연, 즉지야온, 청기언야려.” 자하가 말하였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변화하는 모습이 있다. 멀리서 바라보면 엄숙하고(儼然), 가까이 다가가면 온화하며(溫), 그가 말하는 것을 들으면 준엄하다(厲)." ✨ 해설: 군자의 세 가지 용모 (덕과 예의 조화) 이 장은 **자하(子夏)**가 덕을 갖춘 군자의 외적, 내적 태도를 세 가지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설명한 구절입니다. 이는 군자가 상황과 상대에 따라 적절한 태도를 취하며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望之儼然 (망지엄연): 멀리서 바라보면 (군자는) 함부로 대할 수 없는 **엄숙하고 위엄 있는 모습(儼然)**이 있습니다. 이는 내면의 덕이 밖으로 표출.. 2025. 11. 7.
자장편 7장, 8장 七. 子夏曰: “百工 居肆 以成其事, 君子學 以致其道.” 자하왈: “백공 거사 이성기사, 군자학 이지기도.” 자하가 말했다. "모든 기술자들이 작업장(肆)에 머물러야 자신의 일(事)을 성취하듯이, 군자는 학문(學)을 함으로써 자신의 도(道)를 이루게(致) 된다." ✨ 해설: 학문(學)의 중요성 (전문성과 집중) 이 장은 **자하(子夏)**가 **백공(百工, 모든 장인)**의 직업 활동을 군자의 학문 수양에 비유하며, 배움의 필요성과 집중을 강조한 구절입니다. 백공 거사 이성기사 (百工 居肆 以成其事): 기술자(百工)가 공장이나 작업장(肆)을 떠나지 않고 그곳에 머물러야 비로소 기술을 완성하여 자신의 일(事)을 이룰 수 있듯이, 모든 성취에는 특정 장소와 시간, 그리고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2025. 11. 6.
강릉 소금강 단풍 구경 소금강 구경하고 쓴 이야기가 기사로 채택되었다.https://omn.kr/2fw2k 노란 것도 단풍... 강릉 소금강 기대 이상입니다올해 동해의 10월은 비가 잦아 단풍놀이를 즐기기 어려웠다. 화창한 일요일, 강릉 소금강을 찾아 가을 단풍을 만끽했다. 소금강은 '금강'이라는 이름이 괜히 붙은 것이 아님을 실감케 했다. 구룡www.ohmynews.com 2025. 11. 5.
자장편 5장, 6장 五. 子夏曰: “百工居肆, 以成其事; 君子學, 以致其道.”자하왈: “백공거사, 이성기사; 군자학, 이치기도.”자하가 말하였다. "모든 기술자(백공)는 작업장(肆)에 거주하며, 그들의 일(事)을 성취한다. 군자(君子)는 배움(學)에 거주하며, 그들의 도(道)를 이룬다."✨ 해설: 군자의 배움과 기술자의 일 (학문의 비유)이 장은 **자하(子夏)**가 학문 수양의 중요성과 배움의 태도를 기술자의 작업에 비유하여 명쾌하게 설명한 구절입니다. 이는 군자의 배움이 전문 기술자의 일과 마찬가지로 전념과 집중을 필요로 함을 강조합니다.백공거사 이성기사 (百工居肆, 以成其事): 기술자들(목수, 장인 등)이 자신의 **작업장(肆)**을 떠나지 않고 그곳에 머물며 도구와 재료에 익숙해져야 비로소 자신의 일(事)을 완성할 .. 2025. 11. 5.
자장편 3장, 4장 三. 子夏之門人 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 子張曰: “異乎吾所聞. 君子 尊賢而容衆, 嘉善而矜不能. 我之大賢與, 於人何所不容? 我之不賢與, 人將拒我, 如之何其拒人也?”자하지문인 문교어자장. 자장왈: “자하운하?” 대왈: “자하왈: ‘가자여지, 기불가자거지.’” 자장왈: “이호오소문. 군자 존현이용중, 가선이긍불능. 아지대현여, 어인하소불용? 아지불현여, 인장거아, 여지하기거인야?”자하의 문인이 자장에게 교제에 관하여 물었다. 자장이 말하였다. "자하는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그 문인이 대답하였다. "자하가 말하기를, '가능한 사람과는 더불어 하고, 가능하지 않은 사람은 거절하라'고 했습니다." 자장이 말하였다. "내가 들은 것과는 다르구나. 군자는 .. 2025. 11. 4.
자장편 1장, 2장 一. 子張曰: “士見危致命, 見得思義, 祭思敬, 喪思哀, 其可已矣.”자장왈: “사견위치명, 견득사의, 제사경, 상사애, 기가이의.”자장이 말하였다. "선비가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고, 얻을 것이 있으면 의(義)를 생각하며, 제사에는 공경함을 생각하고,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생각하면, 그것으로 족하다."✨ 해설: 군자의 네 가지 덕목이 장은 공자의 제자인 **자장(子張)**이 생각하는 **'선비(士)의 필수 덕목'**을 정리한 것입니다. 자장은 학식이 뛰어났으나, 때로는 현실적인 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 발언은 선비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네 가지 핵심 행동 강령을 제시하고 있습니다.견위치명(見危致命): 국가나 공동체가 위태로울 때 목숨을 바치는 충성심. 이는 **용기(勇)**와 **의(.. 2025. 11. 2.
미자편_微子第十八 미자편은 11장으로 이루어졌다. 많지 않으니 한꺼번에 정리해 둔다.一. 微子去之 (미자는 떠나다)一.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孔子曰: “殷有三仁焉.”미자 거지, 기자 위지노, 비간 간이사.공자왈: “은유삼인언.”미자는 그곳을 떠나고, 기자는 그 종이 되었으며, 비간은 간언하다 죽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은(殷)나라에는 세 어진 이가 있었다."✨ 해설: 난세의 세 가지 처세이 장은 은(殷)나라 마지막 왕 주왕(紂王)의 폭정 시기에 세 현자가 보인 **각기 다른 처세**를 보여줍니다. 공자는 세 사람 모두 '인(仁)'을 실천했다고 평가하며, **인의 실천이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님**을 인정했습니다. 미자는 떠나고(去), 기자는 굴종하고(爲奴), 비간은 죽음으로써(諫而死) 각자의 방.. 2025.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