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위령공 25장~27장 子曰, “吾猶及史之闕文也. 有馬者借人乘之, 今亡矣夫!” 자왈 오유급사지권문야 유마자차인승지 금무의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관들이 의심 나는 역사는 빈자리로 남겨둘지언정 함부로 쓰지를 않고, 거친 말을 소유한 자는 그것을 무리하게 다루지 않고 반드시 말을 잘 다루는 사람에게 타게 하여 길들이는 신중함을 내 생애에서 내 눈으로 직접 봐왔다. 그런데 지금은 이런 신중함이 다 사라져버렸구나!" 子曰, “巧言亂德. 小不忍, 則亂大謀.” 자왈 교언란덕 소불인 즉란대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교언은 덕을 어지럽힌다. 작은 것을 참아내지 못하면 큰일을 그르친다." 子曰,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자왈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대중이 다 한 사람을 증오한다 해도 반드시 그 사.. 더보기
위령공 22장~24장 子曰, “君子不以言擧人, 不以人廢言.” 자왈 군자불이언학인 불이인폐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한 사람의 말만을 가지고사 그 사람을 기용하지는 아니 하며, 한 사람의 사람됨만을 가지고서 그 사람의 말을 폐하지는 아니 한다." 子貢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공문왈 유일언이가이종신행지자호 자왈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자공이 여쭈어 말했다. "일언으로 종신토록 행할 만한 것이 있겠나이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서, 그 한마디일 것이다.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베풀지 말라." " 남에게 대접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에게 대접하라." 마태복음 7장12절 子曰, “吾之於人也, 誰毁誰譽? 如有所譽者, 其有所試矣. 斯民也, 三代之所以直道而行也... 더보기
위령공 13장~16장 子曰, “臧文仲其竊位者與! 知柳下惠之賢而不與立也.” 자왈 장문중기절위자여 지유하혜지현 이불여립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노나라의 명재상이라 하는 장문중은 분명 그 지위를 도덕질한 자일 것이다. 유하혜의 어짊을 알고서도 그를 박탁하여 더불어 조정에 서질 않았다."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 則遠怨矣.” 자왈 궁자후 이박책어인 즉원원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스스로 자기를 책망하기를 후하게 하고, 남을 책망하기를 박하게 하면 원망으로부터 멀어질 것이다." 子曰, “不曰如之何, 如之何者, 吾末如之何也已矣.” 자왈 불왈 여지하 여지하자 오말여지하야이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찌할꼬, 어찌할꼬 하고 자기반성을 하지 않는 자는 나도 어찌할 바가 없을 뿐이다." 子曰, “羣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더보기
위령공 10장~12장 顔淵問爲邦. 子曰, “行夏之時, 乘殷之輅, 服周之冕, 樂則韶舞. 放鄭聲, 遠佞人. 鄭聲淫, 佞人殆.” 안연문위방 자왈 행하지시 승은지로 복주지면 악즉소무 방정성 원녕인 정성음 영인태 안연이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나라의 역법을 행하고, 은나라의 수레를 타며, 주나라의 관을 쓰며, 음악은 소무로 할 것이다. 정나라 노래를 추방하고 말재주 좋은 사람을 멀리하라. 정나라 음악은 음란하고, 말재주 좋은 사람은 위태로우니라."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자왈 인무원려 필유근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먼 근심이 없어도 반드시 가까운 근심은 있다."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자왈 이의호 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 절망스럽구나! 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