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옹야편 28장

글: 논어일기 2022. 1. 20.
반응형

하나둘 논어 글귀를 적다 보니 드디어 여섯째 옹야편 마지막 장에 다다랐다.

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자공왈 여유박시어민이농제중 하여 가위인호

자공이 여쭈었다.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어서 많은 사람들의 삶을 유족하게 만드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면 어떻습니까? 그 사람을 인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의서에서 수족마비 현상을 불인(不仁)이라고 한다. 이 말이야말로 인을 가장 잘 나타낸 말이다. 인은 천지 만물과 일체가 되어 나의 몸이 아닌 것이 없는 경지이다. $\cdots$ 세상만사가 나에게 속하지 아니하면 나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다. 마치 수족이 마비되어 기가 통하지 않아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것과도 같다. 그러므로 박시제중은 성인의 보람이다.

—정명도
도올만화논어 3

 

子曰: "何事於仁! 必也聖乎! 堯舜其猶病諸!

자왈 하사어인 필야성호 요순기유병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찌 인한 정도이겠는가? 그 사람이야 말로 반드시 성인이라 부를 만하다. 요순도 이를 오히려 어렵게 여겼을 것이거늘!

대저 널리 베푸는 것이 어찌 성인의 바라는 바가 아니겠는가? $\cdots$ 성인의 마음이야 젊은이도 고기를 먹게 하고 싶지 않은 것이 아니라, 다만 그 공급에 부족한 바가 있어 넓게 베풀지 못함을 성인도 안쓰럽게 여긴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대중을 일시에 구원하는 것이 어찌 성인의 바라는 바가 아니리오? 그러나 다스림은 구주(九州)를 넘어갈 수 없다. 사해(四海) 밖의 모든 인간을 구제하고 싶지 않은 바가 아니라 그 다스림에 한계가 있음을 한스럽게 생각한 것이다.

—정이천
도올만화논어 3

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

부인자 기욕립이립인 기욕달이달인 능근취비 가위인지방야의

대저 인한 자는 자기가 서고자 하면 남도 서게 하며 자기가 달성하고자 하면 남도 달성하게 해 준다. 능히 가까운 데서 자기 몸으로 깨달을 수 있는 것을 취할 줄 알면, 그것은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라 일컬을 만하다."

이 장을 읽다가 공자도 사회주의자로 몰리지 않을까 생각했다. 정치는 결국 세상 모든 사람을 구제하는 것이라야 한다. 편을 갈라 내편만 살리고 상대편은 죽이는 것은 정치가 아니다.

06_옹야편.pdf
0.24MB

雍也篇

.

子曰 雍也可使南面 仲弓問子桑伯子 子曰 可也簡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子曰 雍之言然

.

哀公問 弟子 孰爲好學 孔子 對曰 有顔回者 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

子華使於齊 冉子爲其母請粟 子曰 與之釜 請益 曰 與之庾 冉子與之粟五秉 子曰 赤之適齊也 乘肥馬 衣輕裘 吾聞之也 君子周急不繼富 原思爲之宰 與之粟九百 辭 子曰 毋 以與爾隣里鄕黨乎

.

子謂仲弓曰 犁牛之子 騂且角 雖欲勿用 山川 其舍諸

.

子曰 回也 其心 三月不違仁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

.

季康子問 仲由可使從政也與 子曰 由也 果 於從政乎 何有 曰 賜也 可使從政也與 曰 賜也 達 於從政乎 何有 曰 求也 可使從政也與 曰 求也 藝 於從政乎 何有

.

季氏使閔子騫 爲費宰 閔子騫曰 善爲我辭焉 如有復我者 則吾必在汶上矣

.

伯牛有疾 子問之 自牖執其手曰亡之 命矣夫 斯人也而有斯疾也 斯人也而有斯疾也

.

子曰 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回也 不改其樂 賢哉回也

.

冉求曰 非不說子之道 力不足也 子曰 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

十一.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十二.

子游爲武城宰 子曰 女得人焉爾乎 曰 有澹臺滅明者 行不由徑 非公事 未嘗至於偃之室也

十三.

子曰 孟之反 不伐 奔而殿 將入門 策其馬曰 非敢後也 馬不進也

十四.

子曰 不有祝鮀之佞 而有宋朝之美 難乎免於今之世矣

十五.

子曰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十六.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然後 君子

十七.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 幸而免

十八.

子曰 知之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之者

十九.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

二十.

樊遲問知 子曰 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 問仁 曰 仁者先難而後獲 可謂仁矣

二十一.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 知者動 仁者靜 知者樂 仁者壽

二十二.

子曰 齊一變 至於魯 魯一變 至於道

二十三.

子曰 觚不觚 觚哉觚哉

二十四.

宰我問曰 仁者 雖告之曰 井有仁焉 其從之也 子曰 何爲其然也 君子 可逝也 不可陷也 可欺也 不可罔也

二十五.

子曰 君子 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二十六.

子見南子 子路不說 夫子矢之曰 予所否者 天厭之天厭之

二十七.

子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久矣

二十八.

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子曰 何事於仁 必也聖乎 堯舜 其猶病諸 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