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선진편 23장, 24장

글: 논어일기 2023. 1. 13.
반응형

季子然問: "仲由 冉求, 可爲大臣與?" 子曰: "吾以子爲異之問, 曾由與求之問. 所謂大臣者, 以道事君, 不可則止. 今由與求也, 可謂具臣矣." 曰: "然則從之者與?" 子曰: "弑父與君, 亦不從也."

계자연문 중유 염구 가위대신여 자왈 오이자위이지문 증유여구지문 소위대신자 이도사군 불가즉지 금유여구야 가위구신의 왈 연즉종지자여 자왈 시부여군 역불종야

계씨 집안사람인 계자연이 여쭈었다. "우리 집 가신 노릇을 하고 있는 중유와 염구는 훌륭한 신하라고 일컬을 만합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그대가 좀 색다른 질문을 할 것으로 기대했었는데 겨우 유와 구에 관한 질문을 하는구나. 이른바 훌륭한 신하라고 하는 것은 있는 동안은 도로써 임금을 섬기고 그것이 불가능하게 되면 곧 떠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유와 구는 그만한 수준은 못되고 보통 신하로서 숫자를 채우고 있다고 일컬을 수 있다." 계자연이 여쭈었다. "그렇다면 그들은 맹종키만 하는 자들입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비와 임금을 시해하는 일에는 절대 따르는 일이 없을 것이다."

子路使子羔爲費宰. 子曰: "賊夫人之子." 子路曰: "有民人焉, 有社稷焉, 何必讀書, 然後爲學?" 子曰: "是故惡夫佞者."

자로사자고위비재 자왈 적부인지자 자로왈 유민인언 유사직언 하필독서 연후위학 자왈 시고오부녕자

자로가 자고를 비읍의 읍재로 삼았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멀쩡한 남의 자식 하나 버리겠구나!" 자로가 말씀하셨다. "백성이 있고 사직이 있으면 정치를 하면서도 배울 수 있는 게 아닐까요? 하필 책을 읽고 난 연후에만 배운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러기에 내가 말재주가 있는 자가 밉다고 평소 말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학문을 한 후에 정치로 들어갔는데, 정치를 함으로써 배운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도의 근본은 몸을 닦는 데 있고 자신의 몸을 닦은 이후에나 사람을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 범순부
세상을 다스리는 방법도 다 책 속에 있는 것이다. 그것을 다 읽고 난 이후에나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어찌 책을 읽지 않고 정치를 한다는 말이 있을 수 있는가?
- 주자집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