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config.js
본문 바로가기
논어

헌문편 45장~47장

글: 논어일기 2024. 1. 20.
반응형

子路問君子. 子曰, “脩己以敬.” 曰, “如斯而已乎?” 曰, “脩己以安人.” 曰, “如斯而已乎?” 曰, “脩己以安百姓. 脩己以安百姓, 堯舜其猶病諸?”

자로문군자 자왈 수기이경 왈 여사이이호 왈 수기이안인 왈 여사이이호 왈 수기이안백성 수기이안백성 요순기유병저.

자로가 군자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남을 공경할 수 있도록 수련해야 한다." 다시 물었다. "그것이 전부입니까?" 공자님이 대답하셨다.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수련해야 한다." "그것이 전부인가요?" "백성을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수련해야 한다.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일은 요순 임금도 걱정하던 일이다."

原壤夷俟. 子曰, “幼而不孫弟, 長而無述焉, 老而不死, 是爲賊.” 以杖叩其脛.

원양이사 자왈 유이불손제 장이무술언 노이불사 시위적 이장고기경

공자의 오랜 친구인 원양이 편안하게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릴 적엔 불손하고, 커서는 이렇다 할 일을 한 것도 없고, 늙어서 죽지도 않으니, 도적이구나." 지팡이로 종아리를 툭 치셨다.

闕黨童子將命. 或問之曰, “益者與?” 子曰, “吾見其居於位也, 見其與先生並行也. 非求益者也, 欲速成者也.”

궐당동자 장명 혹문지왈 익자여 자왈 오견기거어위야 견기여선생병행야 비구익자여 욕속성자야

궐당 지역의 젊은이가 명을 전하러 왔다. 누군가 "그는 뛰어난 사람입니까?" 하고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가 지위를 내세워 처신하는 것을 보고, 그가 어른들과 나란히 걷는 것을 보면 그는 배우려는 사람이 아니다. 빨리 성공하려는 사람이다.

헌문편도 이제 끝났다. 전문을 올려 놓는다.

憲問第十四

01 憲問恥. 子曰, “邦有道, 穀, 邦無道, 穀, 恥也.”

02 “克伐怨欲不行焉, 可以爲仁矣?” 子曰, “可以爲難矣, 仁則吾不知也.”

03 子曰, “士而懷居, 不足以爲士矣.”

04 子曰, “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孫.”

05 子曰, “有德者必有言, 有言者不必有德. 仁者必有勇, 勇者不必有仁.”

06 南宮适問於孔子曰, “羿善射, 奡盪舟, 俱不得其死然. 禹稷躬稼而有天下.” 夫子不荅. 南宮适出, 子曰, “君子哉若人! 尙德哉若人!”

07 子曰, “君子而不仁者有矣夫, 未有小人而仁者也.”

08 子曰, “愛之, 能勿勞乎? 忠焉, 能勿誨乎?”

09 子曰, “爲命, 裨諶草創之, 世叔討論之, 行人子羽脩飾之, 東里子産潤色之.”

10 或問子産. 子曰, “惠人也.” 問子西. 曰, “彼哉! 彼哉!” 問管仲. 曰, “人也. 奪伯氏騈邑三百, 飯疏食, 沒齒無怨言.”

11 子曰, “貧而無怨難, 富而無驕易.”

12 子曰, “孟公綽爲趙魏老則優, 不可以爲滕薛大夫.”

13 子路問成人. 子曰, “若臧武仲之知, 公綽之不欲, 卞莊子之勇, 冉求之藝, 文之以禮樂, 亦可以爲成人矣.” 曰, “今之成人者何必然? 見利思義, 見危授命, 久要不忘平生之言, 亦可以爲成人矣.”

14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 夫子不言, 不笑, 不取乎?” 公明賈對曰, “以告者過也. 夫子時然後言, 人不厭其言, 樂然後笑, 人不厭其笑, 義然後取, 人不厭其取.” 子曰, “其然? 豈其然乎?”

15 子曰, “臧武仲以防求爲後於魯, 雖曰不要君, 吾不信也.”

16 子曰, “晉文公譎而不正, 齊桓公正而不譎.”

17 子路曰, “桓公殺公子糾, 召忽死之, 管仲不死.” 曰, “未仁乎?” 子曰, “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 如其仁, 如其仁.”

18 子貢曰, “管仲非仁者與? 桓公殺公子糾, 不能死, 又相之.” 子曰, “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 民到于今受其賜. 微管仲, 吾其被髮左衽矣. 豈若匹夫匹婦之爲諒也, 自經於溝瀆而莫之知也?”

19 公叔文子之臣大夫僎與文子同升諸公. 子聞之, 曰, “可以爲文矣.”

20 子言衛靈公之無道也, 康子曰, “夫如是, 奚而不喪?” 孔子曰, “仲叔圉治賓客, 祝鮀治宗廟, 王孫賈治軍旅. 夫如是, 奚其喪?”

21 子曰, “其言之不怍, 則爲之也難.”

22 陳成子弑簡公. 孔子沐浴而朝, 告於哀公曰, “陳恆弑其君, 請討之.” 公曰, “告夫三子!” 孔子曰, “以吾從大夫之後, 不敢不告也. 君曰告夫三子者!” 之三子告, 不可. 孔子曰, “以吾從大夫之後, 不敢不告也.”

23 子路問事君. 子曰, “勿欺也, 而犯之.”

24 子曰, “君子上達, 小人下達.”

25 子曰,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

26 蘧伯玉使人於孔子. 孔子與之坐而問焉, 曰, “夫子何爲?” 對曰, “夫子欲寡其過而未能也.” 使者出. 子曰, “使乎! 使乎!”

27 子曰, “不在其位, 不謀其政.”

28 曾子曰, “君子思不出其位.”

29 子曰, “君子恥其言而過其行.”

30 子曰, “君子道者三, 我無能焉, 仁者不憂, 知者不惑, 勇者不懼.” 子貢曰, “夫子自道也.”

31 子貢方人. 子曰, “賜也賢乎哉? 夫我則不暇.”

32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其不能也.”

33 子曰, “不逆詐, 不億不信, 抑亦先覺者, 是賢乎!”

34 微生畝謂孔子曰, “丘何爲是栖栖者與? 無乃爲佞乎?” 孔子曰, “非敢爲佞也, 疾固也.”

35 子曰, “驥不稱其力, 稱其德也.”

36 或曰, “以德報怨, 何如?”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37 子曰, “莫我知也夫! 子貢曰, “何爲其莫知子也?” 子曰, “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知我者其天乎!”

38 公伯寮愬子路於季孫. 子服景伯以告, 曰, “夫子固有惑志於公伯寮, 吾力猶能肆諸市朝.” 子曰, “道之將行也與, 命也, 道之將廢也與, 命也. 公伯寮其如命何!”

39 子曰, “賢者辟世, 其次辟地, 其次辟色, 其次辟言.”

40 子曰, “作者七人矣.”

41 子路宿於石門. 晨門曰, “奚自?” 子路曰, “自孔氏.” 曰, “是知其不可而爲之者與?”

42 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 曰, “有心哉, 擊磬乎!” 旣而曰, “鄙哉, 硜硜乎! 莫己知也, 斯己而已矣. 深則厲, 淺則揭.” 子曰, “果哉! 末之難矣.”

43 子張曰, “書云, ‘高宗諒陰, 三年不言.’ 何謂也?” 子曰, “何必高宗, 古之人皆然. 君薨, 百官總己以聽於冢宰三年.”

44 子曰, “上好禮, 則民易使也.”

45 子路問君子. 子曰, “脩己以敬.” 曰, “如斯而已乎?” 曰, “脩己以安人.” 曰, “如斯而已乎?” 曰, “脩己以安百姓. 脩己以安百姓, 堯舜其猶病諸?”

46 原壤夷俟. 子曰, “幼而不孫弟, 長而無述焉, 老而不死, 是爲賊.” 以杖叩其脛.

47 闕黨童子將命. 或問之曰, “益者與?” 子曰, “吾見其居於位也, 見其與先生並行也. 非求益者也, 欲速成者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