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집&여행
-
오랜만에 월정사 들렀더니 오랜만에 월정사를 다녀왔다. 해마다 단풍철에는 한두 번 들르던 곳인데 올해는 10월에 비가 너무 자주 와서 가지 못했다. 언제 가도 전나무 숲길을 걸을 때 느낌이 참 좋다. 아쉽게도 단풍은 모두 지고 앙상한 가지만 남았다. 다리 밑에는 무려 살얼음이 얼었다. 여기기 깊은 산속임을 말해주는 듯하다. 갑자기 눈 내린 풍경이 보고 싶다.지난번에 공사를 하더니 월정사 뜰의 풍경이 조금 달라졌다. 석탑과 보살상을 두르고 있던 경계가 사라져서 이제는 가까이 다가가 만져볼 수 있게 되었다. 보살상 앞에 사람들이 놓은 동전과 천 원짜리 지폐가 수북하다. 돌로 만든 탑과 보살상이니 만진다고 닳기야 하겠냐마는 그리 보기 좋은 모습으로 보이진 않는다.
-
삼척 용굴 촛대바위길 삼척에는 ‘용굴 촛대바위길’이 있다. 이곳은 마라토너 황영조의 고향이기도 하다. 아들에게 물어보니 뜻밖에도 잘 모른다고 했다. 길 초입의 식당가는 모두 가림막으로 덮여 있었고, 한창 대대적인 공사가 진행 중인 듯했다. 촛대바위까지는 걸어 들어갈 수 있었지만, 그 이후 구간은 낙석 위험으로 출입이 통제되어 있었다. 이곳은 지질공원이기도 하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군데군데 세워진 안내판이 눈에 띄는데, 읽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공부가 된다. 약 2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면서 극지방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다. 그때 지금보다 약 130미터 낮았던 해수면은 약 6000년 전쯤 현재 수준까지 상승했다. 한때 육지였던 곳이 바닷물에 잠기며, 지금 우리가 보는 섬의 모습이 만들어진 것이다.촛대바위 앞에 서니,..
-
강릉 소금강 단풍 구경 소금강 구경하고 쓴 이야기가 기사로 채택되었다.https://omn.kr/2fw2k 노란 것도 단풍... 강릉 소금강 기대 이상입니다올해 동해의 10월은 비가 잦아 단풍놀이를 즐기기 어려웠다. 화창한 일요일, 강릉 소금강을 찾아 가을 단풍을 만끽했다. 소금강은 '금강'이라는 이름이 괜히 붙은 것이 아님을 실감케 했다. 구룡www.ohmynews.com
논어
-
요왈편 1장~3장 요왈편은 마지막 편으로 3장이 전부다. 이제 논어를 모두 정리했다. 제미나이 덕분이다.一. 堯曰: “咨! 爾舜! 天之曆數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 永終.” 舜亦以命禹. 曰: “予小子履, 敢用玄牡, 敢昭告于皇皇后帝. 有罪不敢赦, 帝臣不蔽, 簡在帝心. 朕躬有罪, 無以萬方; 萬方有罪, 罪在朕躬.” 周有大賚, 善人是富. 雖有周親, 不如仁人. 百姓有過, 在予一人. 謹權量, 審法度, 修廢官. 四方之政 行焉. 興滅國, 繼絶世, 擧逸民. 天下之民 歸心焉. 所重 民食喪祭. 寬則得衆, 信則民任焉, 敏則有功, 公則說.요왈: “자! 이순! 천지력수재이궁, 윤집기중. 사해곤궁, 천록 영종.” 순 역이명우. 왈: “여소자이, 감용현모, 감소고우황황후제. 유죄불감사, 제신불폐, 간재제심. 짐궁유죄, 무이만방; 만방유죄, ..
-
자장편 15장~20장 十五.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과야, 인개견지; 경야, 인개앙지.”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잘못은 해와 달의 일식(日食)이나 월식(月食)과 같다. 잘못을 저지르면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보지만,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그를 우러러본다."✨ 해설: 군자의 잘못과 개과천선이 장은 공자의 뛰어난 제자인 **자공(子貢)**이 **군자(君子)**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취해야 할 태도와 그 결과를 **일월식(日月食)**에 비유하여 설명한 구절입니다. 이는 군자의 잘못은 숨기기 어렵지만, 고치는 용기는 더 큰 존경을 낳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과야, 인개견지 (過也, 人皆見之): 해와 달이 일식이나 월식으로 인해 잠시 빛을 잃듯이, ..
-
자장편 11장~14장 十一. 子夏曰: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자하왈: “대덕불유한, 소덕출입가야.”자하가 말하였다. "큰 덕(大德)은 울타리를 넘어가지 않아야 하지만, 작은 덕(小德)은 (울타리를) 드나드는 것이 괜찮다."✨ 해설: 큰 덕과 작은 덕의 기준 (원칙과 융통성)이 장은 **자하(子夏)**가 군자가 지켜야 할 도덕적 원칙에 있어 큰 기준과 작은 허용 범위를 설정하여 융통성을 강조한 내용입니다.大德不踰閑 (대덕불유한): **큰 덕(大德)**은 인(仁), 의(義), 효(孝)와 같은 인간의 근본 도리, 즉 핵심적인 도덕 원칙을 의미합니다. **閑(한)**은 울타리, 즉 규범과 법도의 경계를 뜻합니다. 근본 도덕은 어떤 상황에서도 **넘어서는 안 된다(不踰)**는 확고한 원칙을 제시합니다.小德出入可也 (소덕출입가야)..
SKIN&CSS
- 요즘 블로그 스킨 디자인 트렌드 요즘 제미나이랑 나누는 이야기에 빠져있다. 요즘 유행하는 블로그 스킨 디자인을 정리해 달라고 하자 뚝딱 정리해서 보여준다.미니멀리즘 (Minimalist Design)가장 강력하고 지속적인 디자인 경향이다.여백(Whitespace)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시각적 혼란을 줄이고 가독성을 극대화한다.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한다. 복잡한 배경, 과도한 위젯, 애니메이션 등은 최소화하여 콘텐츠에만 집중하도록 한다.단순하고 깨끗한 레이아웃을 사용한다. 콘텐츠를 명료하게 보여준다.HTML/CSS 팁: font-family는 깔끔한 산세리프(Sans-serif) 계열을 주로 쓰며, padding과 margin을 충분히 활용하여 **'숨 쉴 공간'**을 확보한다.고성능 및 SEO 최적화 (Optimized for Spee.. 2025.10.18
- CSS에서 폰트와 타이포그래피 다루기 웹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는 단순히 글꼴을 예쁘게 선택하는 것을 넘어, 읽기 좋은 리듬과 구조를 만드는 기술이다.CSS는 글자의 모양, 크기, 간격, 정렬 등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속성을 제공한다.폰트 지정의 기본: font-familyCSS에서 글꼴을 지정할 때는 font-family 속성을 사용한다.body { font-family: 'Noto Sans KR', 'Helvetica Neue', Arial, sans-serif; }여러 글꼴을 쉼표로 구분하여 나열하면, 앞의 글꼴이 없을 때 다음 글꼴이 순서대로 적용된다.마지막의 sans-serif, serif 등은 폰트 계열(generic family) 로,sans-serif는 고딕체 계열,serif는 명조체 계열을 의미한다.웹폰트를 사용.. 2025.10.11
- css 글자 크기가 지정한 것보다 커보이는 까닭 스킨 디자인하다 보니 인용문이 지정한 글자 크기보다 더 커 보인다. 인공지능에게 물었다. **상속(inheritance)**과 단위(units) 때문에 글자 크기가 예상보다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며 정리해서 알려준다.CSS에서 font-size의 상속과 단위 이해하기타이포그래피를 다룰 때 가장 자주 혼동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폰트 크기의 상속과 단위 계산 방식이다.font-size는 상속 가능한 속성이므로, 부모 요소의 설정이 자식 요소의 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이 글에서는 font-size의 상속 원리, 단위별 차이, 계산 예제, 그리고 실무에서의 권장 패턴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기본 개념상속의 작동 방식자식 요소에 font-size를 직접 지정할 경우(예: 1.2em, 120%), 그 .. 2025.10.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