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씨편 12장~14장
齊景公有馬千駟, 死之日, 民無德而稱焉. 伯夷叔齊餓于首陽之下, 民到于今稱之. 其斯之謂與.제경공 유마천사 사지일 민무덕이칭언 백이숙제 아우수양지하 민도우금칭지 기사지위여제 나라 경공은 천 수레의 말 4천 필이나 가지고 있었으나 죽은 날에는 사람들이 그 덕을 칭송함이 없었고 백이와 숙제는 수양산 아래에서 굶어 죽었으나 사람들이 지금에 이르도록 칭송하고 있다. 이것을 두고 한 말일 것이다.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對曰: ”未也. 嘗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詩乎?’ 對曰: ‘未也.’ ‘不學詩, 無以言.’ 鯉退而學詩. 他日, 又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禮乎?’ 對曰, ‘未也.’ ‘不學禮, 無以立.’ 鯉退而學禮. 聞斯二者 .” 陳亢退而喜曰: “問一得三, 聞詩聞禮, 又聞君子之遠其子也.”진항 문어백어왈 ..
2024. 11. 10.
계씨편 10장, 11장
孔子曰: "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色思溫, 貌思恭,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難, 見得思義."공자왈 군자유구사 시사명 청사총 색사온 모사공 언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에겐 아홉 가지 생각이 있다: 볼 때는 밝음을 생각하며, 들을 때는 귀 밝음을 생각하며, 얼굴빛 가짐에는 온화함을 생각하며, 행동거지엔 공손함을 생각하며, 말에는 진심에서 우러나옴을 생각하며, 일에는 공경 집중함을 생각하며, 의심에는 물어 풀 것을 생각하며, 분노에는 더 큰 어려움이 결과됨을 생각하며, 득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한다."의심이 있으면 질문하라와 이득을 보았을 때 의로움을 생각하라는 대목이 특히 맘에 와닿는다.孔子曰: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吾見其人矣, 吾聞其語矣! 隱居以求其志..
2024.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