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990 이인편 7장 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黨 觀過 斯知仁矣 자왈 인지과야 각어기당 관과 사지인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과실이란 각기 그 습벽을 따른다. 그 사람의 과실을 보면 곧 그 사람의 사람의 인함을 알 수 있다." 고주는 다음과 같이 풀고 있다. 과는 과실(허물)이고 당은 당류, 즉 비슷비슷한 무리라는 뜻이다. 사람의 과실은 그 사람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는데, 소인이 군자의 행동을 흉내내지 못한다고 해서 그것이 소인의 잘못은 아니다. 과실의 유형을 잘 분류하여 용서할 것은 용서하는 것이 곧 인을 아는 사람의 행동이다. 신주는 조금 다르게 풀었다. 사람의 오류는 그 당류에 맞게 일어나는 것이다. 정이천은 군자는 군자다운 오류를 소인은 소인다운 오류를 범한다고 했다. 지혜로운 자의 허물은 항시 지혜 때문에 생겨나며.. 2021. 1. 9. 애드센스 승인 받은 날 이 블로그는 논어와 티스토리 스킨 관련 글을 따로 올리려고 만든 블로그다. 2020.11.01. 논어 일기로 학이편 1장을 쓰고 나서 117번째 글을 올리고 나서야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다. 신청은 대충 60번 째 글을 올리고 나서 했는데 생각보다 승인이 쉽게 나지는 않는 모양이다. 2021. 1. 8. 이인편 6장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好仁者 無以尙之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 加乎其身 有能一日 用其力於仁矣乎 我未見力不足者 蓋有之矣 我未之見也 자왈 아미견호인자 오불인자 호인자 무이상지 오불인자 기위인의 불사불인자 가호기신 유능일일 용기력어인의호 아미견력부족자 개유지의 아미지견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아직도 인을 좋아하는 자와 불인을 미워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 인을 좋아하는 자는 더 이상 보탤 것이 없다. 그런데 불인을 미워하는 자는 그 인을 행함에 있어, 불인한 것이 자기 몸에 물들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는 자들이다. 하루라도 그 힘을 인에 쓰려고 노력하는 자가 있는가? 나는 그 인함에 쓸 힘이 부족한 인간을 본 적은 없다. 과연 그런 자가 있을까? 나는 단연코 그러한 자를 본 적이 없다." 아(我.. 2021. 1. 6. 이인편 5장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君子去仁 惡乎成名 君子無終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顚沛必於是 자왈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군자거인 오호성명 군자무종식지간위인 조차필어시 전패필어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귀는 사람들이 다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당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면 그것에 처하지 않는다. 빈천은 누구나 다 싫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비록 정당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부당한 방법으로 벗어나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군자가 인함에서 떠나 있다면 어찌 명예로운 이름을 이룰 수 있겠는가? 군자는 한 끼니를 마칠 동안에도 인을 어기는 법이 없다. 황급한 때에도 반드시 인과 더불.. 2021. 1. 5. 이인편 3장, 4장 子曰 惟仁者 能好人 能惡人 자왈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직 인한 자래야 사람을 좋아할 수 있으며, 또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 惡: 미워할 오 동양에서는 서양과 달리 선과 악이 대립적인 가치가 아니다. 선의 반대는 악이 아니며, 악이란 본시 인간으 호오의 한 측면일 뿐이다. 사람이 사람을 좋아하는 것만으로 인격이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인은 인간에 대한 아부도 아니요, 감정 없는 지적 도덕성도 아니다. 공정치 못한 사람을 미워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인한 사람 뿐이다. 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자왈 구지어인의 무오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실로 인함에 뜻을 둔다면, 사람들이 싫어하는 행동은 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 장은 인에 뜻을 두기만 하면 모든 악이 소멸된다가 아니라 내가 .. 2021. 1. 4. 이인편 2장 子曰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 자왈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안인 지자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하지 못한 자는 오랫동안 곤경에 처하지 못하며, 또 오랫동안 즐거움에도 처하지 못한다. 인자는 인에서 편안한 줄 안다. 지자는 인에서 이로움을 취한다." 인간이 오랫동안 곤궁한 상황에 처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곤궁한 상황을 참고 버티기 위해서는 극기의 노력이 필요하다. 평범한 사람은 곤궁한 상황에서 쉽게 좌절하고 만다. 그런데 혜택 받은 환경과 성공의 즐거움에 오랫동안 처할 줄 아는 것도 곤궁한 상황에서 좌절하지 않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부귀를 얻기 전에는 얻을 것을 걱정하고, 이미 얻고 나서는 잃을 것을 걱정하나니, 만약 잃을 것을 걱정한다면 못하.. 2021. 1. 3. 시에스에스CSS: before & after 요즘 나오는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은 대부분 관련 글 보이기 목록을 사진과 함께 보여주고 있다. 글에 대표 이미지가 있다면 문제없지만 글에 이미지가 없는 글은 애써 디자인한 틀이 깨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해진 이미지를 미리 불러들이게 만든다. 대표 이미지가 있으면 위에 덮여 보이고 없으면 정해진 이미지가 보이게 하는 것이다. 이때 쓰는 시에스에스 구문은 :before이다. ::before는 선택한 요소의 첫 자식으로 가상 요소(pseudo-element)를 하나 만든다. 보통 컨텐트 content 속성과 함께 짝지어, 요소에 장식용 콘텐츠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 기본값은 인라인이다. 이 블로그 스킨은 아래와 같은 구문이 있다. .cover-list ul li figure:before { ba.. 2021. 1. 3. 시에스에스 속성: 표시(display) 시에스에스 문법에서 표시 속성은 은근히 어렵다. 시에스에스에서 표시 속성(display property)은 요소를 블록이나 인라인 요소로 처리할 것인가와 자식 요소에 적용되는 배열의 흐름(flow layout), 격자(grid) 또는 변동(flex)을 정해준다. 요소에 따라 기본이 되는 배열의 흐름이 정해져 있다. 배열의 흐름은 인라인과 블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라인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블록은 위에서 아래로 배열된다. 스팬(span)은 인라인이 기본이고 디아이브이(div)는 블록이 기본이다. 스팬을 블록으로 또는 디아이브이를 스팬처럼 인라인으로 흐르게 하려면 시에스에스로 보임 속성을 따로 정해 주어야 한다. 요소 안에 요소가 있을 때 표시 속성은 안쪽과 바깥쪽 유형을 정할 수 있다. 외부 유형으로 .. 2020. 12. 29. 간단-수학 스킨 여러 가지 기본 스킨을 버무려 만들어서 딱히 출발점을 밝히기 어렵다. 그냥 간단한 스킨이다. 1. 사이드바와 헤더를 하나로 모으고 옆에 고정해 두었다. 2. 사이드바 내용을 모두 없애고 카테고리만 남겼다.(카테고리가 너무 많은 블로그는 적당하지 않다.) 3. 커버는 리스트형과 갤러리형 하나씩 남겼다. 4. 아래 파일을 내려받아서 올리면 된다. 2020. 12. 29. 이인편 1장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에서 인하게 사는 것이 아름답다. 택하여 인에 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할 수 있겠는가?" 고주와 신주의 해석은 아래와 같이 비슷하다. 동리는 백성이 거처하는 곳이다. 인한 사람의 동리에 거처하는 것, 그것을 좋게 여기는 것이다. -고주 정현 마을에는 인후한 풍속이 있는 것이 아름답다. 마을을 선택하되 인후한 풍속에 처하지 않는다면, 옳고 그름의 본심을 잃게 되어 지혜롭다 할 수 없는 것이다. -신주 주자 일본 유학자 소라이는 리를 동네가 아니라 거처한다는 동사로 해석했다. 2020. 12. 29. 팔일편 24장 儀封人 請見曰 君子之至於斯也 吾未嘗不得見也 從者見之 出曰 二三子 何患於喪乎 天下之無道也久矣 天將以夫子 爲木鐸 의봉인 청현왈 군자지지어사야 오미상불득현야 종자현지 출왈 이삼자 하환어상호 천하지무도야구의 천장이부자 위목탁 의(儀) 땅의 국경 수비대장이 공자 뵙기를 청하여 말했다. "군자께서 이 땅에 이르시면 내 일찍 아니 뵌 적이 없었다." 공자의 시종인들이 뵙게 해 주었다. 그가 뵙고 나와서 말했다. "그대들은 어찌하여 선생께서 지위를 얻지 못하고 유랑하심을 걱정하는가? 천하에 도가 없어진 지 오래되었다. 하늘은 장차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으실 것이다." 변방을 지키는 수비 대장이지만 사람을 보는 눈은 아주 정확한 사람이 있었던 모양이다. 여기에 나오는 목탁은 스님들이 쓰는 목탁이 아니라 동탁(銅鐸)을 말한.. 2020. 12. 28. 여백과 폭 시에스에스에서 영역(div) po를 만들었다. 영역의 여백과 폭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알아야 한다. 여백은 안쪽 여백 padding과 바깥 여백 margin이 있다. 폭에는 여백이 들어가지 않음을 명심해야 영역 안에 영역을 넣을 때 폭을 정할 수 있다. 바깥 영역의 폭은 margin-right+margin-left+width+padding-right+padding-left+border-right+border-left 보다 더 커야 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po를 둘러싸는 영역의 폭은 최소 540px는 되어야 한다. See the Pen padding&margin by 박영호 (@lyrsqwja) on CodePen. 2020. 12. 28.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83 다음 반응형